안녕하세요. 호랑인 입니다.

 

 

LG 게시판에 "2019년도 2학기 캠프 결과"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학생들이 열심히 준비한 결과 대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 모두 수고했습니다.

 

바로가기

 

[LG] 2019년도 2학기 캠프 결과

안녕하세요. 호랑인 입니다. LG 사랑의 다문화 학교 최종 결과를 포스팅합니다. 저희는 아래에 있는 포스터에 해당하는 "청소년 적정기술 경진대회"에 나가, 11월 16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발표를

magpie-and-tiger.tistory.com

 

안녕하세요. 호랑인 입니다. LG 사랑의 다문화 학교 최종 결과를 포스팅합니다.

 

저희는 아래에 있는 포스터에 해당하는 "청소년 적정기술 경진대회"에 나가, 11월 16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아래가 발표를 하는 모습입니다.

 

 

결과적으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 상과 함께 받은 상품권은 학생들에게 나눠줬습니다.

 

 


여기에서 각 학생들의 소감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LG 사랑의 다문화학교 2019년 2학기 포스팅을 모두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호랑인 입니다.

 

 

LG 게시판에 "2019년도 2학기 캠프 준비과정" 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청소년 적정기술 경진대회에 출전해보았는데요,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다음에는 대회 출전 결과로 찾아뵙겠습니다.

 

 

바로가기

 

[LG] 2019년도 2학기 캠프 준비과정

안녕하세요. 호랑인 입니다. LG 사랑의 다문화학교 캠프의 2학기 과정이 끝났습니다. 저번학기에 매우 바빴어서 포스팅을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짧게나마 준비 과정과 그 결과를 포스팅하기

magpie-and-tiger.tistory.com

 

안녕하세요. 호랑인 입니다. LG 사랑의 다문화학교 캠프의 2학기 과정이 끝났습니다. 저번학기에 매우 바빴어서 포스팅을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짧게나마 준비 과정과 그 결과를 포스팅하기로 했습니다.

 

LG 사랑의 다문화 학교 2학기는 2019LG 사랑의 다문화학교 캠프의 2학기 과정이 끝났습니다. 저번학기에 매우 바빴어서 포스팅을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짧게나마 준비 과정과 그 결과를 포스팅하기로 했습니다.

 

 

LG 사랑의 다문화 학교 2학기는 2019년 11월 16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진행된 청소년 적정기술 경진대회에 실제로 출품해보는 것이 중점이 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카이스트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과 같이 살고 있는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들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고, 이를 바탕으로 각 팀마다 적정기술을 만들어 참가했습니다.

 

저는 이번에도 한 팀을 맡은 멘토로 참가하였습니다. 짧게 어떤 준비과정을 거쳤는지를 소개하겠습니다.

 

 

1. 외국인 학생과의 교류

 

 

 

 

 

인도의 Bihar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하면 시원하게 해줄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본 결과, 여러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Bihar 지역에 비가 많이 오는 관계로, 풍분한 수자원을 통해 에어컨과 비슷한 무언가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하는 아이디어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주로 알고 있는 에어컨은 냉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비가 크고, 비싸며, 자가수리가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적정기술은 싸고 간단하며, 자가수리가 쉬워야 한다는 제약 조건이 있었기에, 가장 간단하고 단순하게 에어컨을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보았습니다.

 

그러던 도중 생각난 것이 바로 펠티어 소자였습니다. 펠티어 소자는 전원을 공급하면, 양단에 온도차가 발생하는 소자입니다. 이 소자를 사용하여 에어컨을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4. 제품 제작 1

제품 제작을 위해 우선 펠티어 소자를 구매했습니다.

펠티어 소자의 모습

해당 펠티어 소자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양단에 12 V 까지의 전원을 공급해줄 경우, 양단에 70도의 온도차이가 생깁니다. 따라서 이에 12V를 구성해서 간의 에어컨(?) 을 만들었습니다.

 

 

5. 문제 발생 1

펠티어 소자의 가장 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바로 양단에 온도차이를 만들어 주는 것이 곧 냉각이 이뤄진다는 뜻은 아니라는 점이었습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처음에는 뜨거운 면의 온도가 실온과 비슷하기 때문에 반대측이 영하의 온도를 이루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자의 발열로 인해 뜨거운 면의 온도가 올라가면, 차가운 면의 온도가 같이 올라간다는 것이었습니다. 수 분만 지나도 뜨거운 면의 온도가 100도 정도를 웃돌았고, 차가운 면의 온도가 30도 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6. 문제 해결 1

이를 고치기 위해 냉각 블럭을 만들어 붙였습니다. 냉각 블럭에는 물이 펌프를 통해 들어갔고, 이 물은 열을 빼앗고 다시 나왔습니다. 이는 Bihar 지방에는 수자원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진행된 것입니다.

 

측면 모습

위의 사진을 보면, 냉각 블럭, 그리고 펠티어 소자, 열의 전달을 위해 표면적을 높여주는 방열판, 그리고 바람을 위한 전기 팬의 순서로 만들었습니다.

 

전체 모습

냉각블럭에는 새로운 물이 계속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물 펌프를 사용했습니다. 전체 구조는 위의 사진과 같습니다. 이 결과, 매우 시원한 바람이 팬을 통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7. 문제 발생 2

문제는 물이 뜨거워진다는 점이었습니다. 계속 펠티어 소자의 열을 식혀준느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물은 자연스럽게 뜨거워졌습니다. 이를 고치기 위한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8. 문제 해결 2

여기서 저희 팀은 발생의 전환을 했습니다. "뜨거운 물이 나오는 것이 진짜 단점일까?" 저희는 아닐 수도 있다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조사해본 결과, Bihar 지방에서 뜨거운물을 구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오히려 이 뜨거운 물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

 

저희가 생각한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음식 조리

샤워 & 빨래

뜨거운 물이 필요한 다양한 실험

얼어있는 고기 해동

수영장 혹은 사우나

 

 

9. 추가적인 기능

추가적으로, 펠티어 소자는 그 특성 상 전원을 반대로 연결하면, 뜨거운 면과 차가운 면의 뒤집힙니다. 이를 활용하여, 별도의 스위치를 하나 설치하여 스위치를 통해 에어컨과 난방기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이를 부각하기 위해 제품의 이름은 Bipolar A/C 로 결정했습니다.

 

 

10. 대회 출전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대회 참가 신청서를 작생했습니다. 아래는 그 중 일부입니다.

+ Recent posts